※思索의 窓門/태화강 이야기~

만고의 충신 박제상, 그는 누구 인가?

migiroo 2013. 4. 23. 14:37

 

 >2013.4.16

 

 

 


만고의 충신 박제상, 그는 누구 인가?
현대인의 시각으로 비춰본 충신과 가족애...


심술궂은 꽃샘추위가 너무 늦게 그리고 자주 오는 듯 하다.
그러나 아무리 꽃샘추위가 기승을 부려도 봄꽃은 멈추지 않는다.
엊그제는 사랑에 살다 사랑에 죽은 박제상 부인의 영혼이 잠든
은을암을 다녀왔는데 오늘은 박제상의 사당을 찾는다.

 

 

 


박제상하면 대명사처럼 떠오르는 것이 있다.
‘만고의 충신’이 그것이고, ‘망부석’의 주인공 박제상 부인 이야기가 그것이다.
천년도 넘은 케케묵은 이런 이야기가 지금까지도 사회에 회자되고 있는 이유는 무엇일까? 
그것은 아마도 국가나 군주에 대한 충성심 보다는 개인주의를 더 중요시 하는 현대 사회의

풍조를 애석해 하고 아쉬워하는 이유가 아닐까 싶다.

 
현대 사회에는 국가를 위한 진정한 '충신‘은 없다.
그저 철새처럼 권력자를 따라 맹종하는 가신이나 간신배만 넘쳐 날 뿐이다.
정치인 관료들이 그렇고, 교육자, 재계가 그렇고, 한 나라의 지도자마저 그렇다.
이런 부류들에게서 국가에 대한 충신은 찾아 볼 수 없다.
오로지 권력을 이용해 치부에만 열중하고, 자신들의 가족만 지킬 줄 알았지 사회적 배려 심은 희박하다.
 

충신이란 그저 지난 과거 시대의 산물일 뿐이라고 여기고 있다.
그러니 박제상 유적지 같은 곳이 국가에 대한 국민 교육장으로 활용되기 어렵고,
그저 별로 인기 없는 관광지로 인식되고 있는 작금의 현실이 안타까울 뿐이다.
 

박제상의 행적은 자신의 목숨을 버려 적대적 나라에 볼모로 가 있는 왕제들을 구출한 것에 기인하며

그로인하여 만고의 충신이 되었지만 그의 가족은 지키지 못한 비운의 가장 이기도 하다.


박제상에 대한 삼국유사 등에 전해 오는 역사적 사실과 설화를 간추려 본다.

 

 

 


박제상은 왕(19대 눌지왕)의 명령을 받아, 고구려와 왜에 볼모로 가 있는 왕의 두 아우를 구출하려 간다. 박제상은 먼저 고구려에 가서 복호(卜好)을 구하는데 성공하고 돌아와 곧 바로 다시 왜(倭)에 있는 미사흔(未斯欣)을 구하기 위하여 떠난다. 이 때 박제상은 장기간 고구려에 머물다 왔음에도 불구하고 일본으로 떠나면서 가족들에겐 연락도 하지 않았다.


그뿐이 아니다. 미사흔의 구출을 위해 일본 조정을 속이기 위해 왕과 박제상은 모종의 계략을 꾸민다. 바로 박제상이 조정의 범죄자로 변신하여 일본으로 도망간다는 계략이다.
물론 이런 사실은 왕과 박제상만이 아는 비밀이고, 조정의 신료들이나 박제상의 가족들은 정말 박제상이 일본으로 도망간 범죄자로 알게 했다.
그 때문에 박제상 가족들은 치술령으로 유폐 되어 감금되는 수모를 겪는다.
박제상의 부인은 세 딸들을 데리고 날마다 치술령에 올라 동해 바다를 바라보며 왜로 간 남편을 기다린다. 그러나 끝내 박제상은 돌아오지 못한다. 박제상은 왕제 미사흔을 구출 하는데는 성공하지만, 정작 자신은 계략이 탄로 나서 일왕에 의하여 처참하게 화형을 당하여 죽고 만다.

 

 

 


이런 사실을 전해들은 박제상 부인은 날마다 통곡하며 지내다가 남편에 대한 그리움으로  세 딸을 세상에 남기고 치술령 바위에서 뛰어 내려 목숨을 버린다. 그녀의 설화는 여기서부터 시작된다.


남편을 그리다가 죽은 부인의 몸은 치술령의 망부석(望夫石)이 됐고, 그녀의 넋은 한 마리 새(乙)로 변하여 동해바다를 건너 일본으로 날아가 그 곳에 머물고 있는 남편의 넋을 데리고 돌아와 치술령 국수봉 은을암(隱乙巖)으로 숨어들었다는 설화이다.


한편의 러브스토리 같은 부인의 사랑이야기(설화)가 가슴을 울리고, 가족을 버린 충신 보다 더 가슴 아프게 다가오는 이야기가 아닌가.


왕 자체가 국가 일 수는 없지만, 그러나 군주제 국가에서는 왕이 곧 국가이랄 수 있으니 왕을 위하여 죽으면 그것이 곧 국가에 대한 충성이고 충신이 될 수도 있었지만 그 충성 때문에 박제상은 정작 자신의 가정을 버린 비운의 가장이 되고 만 것이다. 결국 그의 부인은 망부석이 되고 영혼은 새가 됐다는 설화를 낳게 했지만 현대적 시각으로 보면 박제상은 충신이 된 대가로 가족을 버렸다는 이야기가 된다.


‘만고의 충신’ 이 현대인들에게 있어서 얼마나 큰 감동을 불러일으킬까?
개인주의가 팽배해 있는 현대인들의 감정으로 비춰보면 충신보다는 한편의 러브스토리 같은 그의 부인의 행적이 훨씬 더 인간적인 감정을 불러일으킬 수 있지 않을까 생각한다.


다시 말하면 현대인들에겐 국가에 대한 충성 보다는 가족에 대한 사랑이 더 중요한 것으로 인식 되고 있다는 것이다.

 

 

                                                            ▲위 사진은 인터넷상에서 빌려온 것임.


한 무리의 어린이들이 박제상 유적지에 와서 선생님의 설명을 열심히 듣고 있다.
선생님은 아이들에게 만고의 충신 박제상을 어떻게 설명 했을까?
그냥 역사적 사실과 설화 이야기만 들려 줬을까?
참으로 궁금하다.


아이들에게 충신이라는 말을 아무리 이야기 해 봤자 잘 이해하지 못할 것이다.
더욱이나 가족을 버린 충신 박제상이 아이들 가슴에 얼마나 부각 될 수 있을까.
아마도 가족을 버린 나쁜(?) 아빠였다는 사실에 더 실망하지 않았을까 생각 든다.
박제상에 얽힌 이야기를 단순히 나타난 역사적 사실과 설화 이야기만을 전해 주는
현장 설명이 아니라, 아이들이 잘 이해하여 수용할 수 있도록 보다 슬기로운
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해야 되지 않을까 싶다.
 


●치산서원지(鵄山書院址)

 

 

 

 

지금의 박제상 유적지는 원래 ‘치산서원’ 이었다.
치산서원은 조선시대에 세운 서원으로서 박제상과 그의 부인을 기리기 위해 새웠던 사당 자리에 세운 서원이다. 지금은 근대에 박제상 유적지로서 많은 건물들이 층축됐고. 근년에는 박제상 기념관이 들어서 꽤 큰 유적지가 되어 울산 시민은 물론 주변 지역민이 많이 찾는 명소가 됐다.


과거 역사를 통하여 볼 때 어찌 충신이 박제상뿐이겠는가.
여러 왕조 시대에 충신은 많았다.
충신이란 나라와 임금을 위해 충절을 다하는 신하를 말한다.
그냥 왕에게 일방적으로 충성하는 것이 아니라 왕이 정치를 함에 있어
옮고 그름을 충언하는 사람을 충신이라 한다.
그래서 왕의 잘못을 충언했다가 목숨을 잃은 충신도 많았다.
무조건 충성하는 행위는 충신이 아니고 간신이라 부른다.
이런 간신 또한 많았다.
간신이 많으면 나라가 망하고, 충신이 많으면 나라가 산다라는 말은
예나 지금이나 다 필요한 진리가 아닌가 싶다.

 

 

●박제상 춘향대제

 

 


                           ▲위 사진은 2013.4.23일 거행한 박제상 춘향대제 장면이다. 인터넷상에서 빌려온 것임

 

박제상 춘향대제는 충렬공 박제상과 그의 부인, 그리고 그의 딸들에 대한 얼을 추모하고 충, 의, 효, 열의 정신을 지역주민들에게 계승,

발전시키기 위하여 매년 음력 3월에 제례를 봉행하는 행사가 열린다.
 

오늘 박세상의 유적지 치산서원을 둘러보면서 생각해 본 나의 졸렬한 생각들이다.
울산시 울주군 두동면 만화리. 박제상 유적지가 위치한 곳이다.
규모가 큰 유적지의 유명세에 비하여 만화리는 여전히 시골마을일 뿐이다.
길가엔 봄 야생화들이 다투어 피어 있고, 옛 폐가들도 눈에 띈다.
작은 절집도 있고, 시골돌담 길도 남아 있다.
마을 집들과 어울리지 않는 잘 지은 전원주택도 여기저기 들어서 있다.
이런 시골에서 살고 싶은 마음은 누구나 꿈을 꾼다.
그러나 도심 속 아파트에 길들여진 현대인들에겐 그저 꿈이 뿐이다.


꽃샘추위가 조금은 누그러진 듯 하다.
점심을 거른 탓일까 배가 고프다.

 

>미지로

 

사진으로 본 박제상 유적지

 

 

 유적지 정문 홍살문

 

 

 

 

 

 

 

 

 

 

 

 

 

 

박제상 기념관

 

 

박제상 부인과 두 딸 '삼모녀상'

박제상은 딸이 셋 있었는데 딸 하나는 어디 갔을까?

 

 

 

 

 

 

 

 

 

 

박제상 유적지에 있는 '만화리' 마을 집들이다.

정겨운 시골 냄새가 물씬 풍기는 모습을 카메라에 담아 봤다.

 

 

 

 

이상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