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思索의 窓門/태화강 이야기~

(울산)사라진 오대오천마을, 그 가슴 아픈 이야기~

migiroo 2013. 6. 10. 22:26

>2013.6.9

울산
   사라진 오대오천마을, 
                   그 가슴 아픈 이야기~


오늘은 공업도시 울산의 어두운 단면, 오대오천마을을 찾는다.
이미 공업화로 옛 마을의 추억마저 죽어버린 곳....
울산의 석유화학단지가 밀집해 있는 울주군 청량면 일대....
차마 정든 땅을 떠나지(이주) 못하고 힘겹게 마을을 지키고 있는
얼마 되지 않는 낡은 가옥들이 애잔한 모습으로 크고 작은
공장들에 둘러싸여 쓸쓸히 앉아 있다.
 

이제 마을 사람들은 모두 어디로 갔을까.
고향마을을 떠나 새로운 땅에 안주하여 잘 살고 있을까?
울산에 이런 마을들이 어디 한두 곳뿐이겠는가.


(덕하)이제는 산업도로로 돼 버린 31번국도 변 화창마을을 지나
신촌마을 앞에 이른다. 이 두 마을도 이제는 거의 죽은 마을....
마을 앞으로 대형 트럭들이 제한 속력80km를 넘어 뿌연 매연과
지축을 울리는 굉음을 토해내며 무서운 속도로 질주 하고 있다.
석유화학단지와 온산공단에 들어가고 나오는 차량들이다.


 

 

 


마을 초입에 이미 오래전에 폐교된 초등학교 분교가 보인다.
운동장은 텅 비어 있고 주인 잃은 학교 건물은 짖게 퇴색 되어
잡초가 무성한 운동장 구석에 쓸쓸히 앉아 있다.
어디선가 들려오는 아이들의 떠드는 소리~
아마도 이 학교에서 떠들며 공부하던 아이들은 이미
성년을 넘어 고향을 잊어버렸는지도 모를 것이다.

 

 

 

 

문 닫은 지 얼마나 됐는지 알 수 없는 동네 구멍가게 슈퍼도 보이고,
손님 없는 버스 정류소도 보인다.


 

 

 


학교 옆 마을회관에는 ‘신산업단지 조성 결사반대’라는 현수막이 붙어 있다.
아마도 당국의 이주 정책이 순조롭지 못한 모양이다.


 

 

                                          ▲이주 대책 촉구하며 농성 중인 오대오천 주민들(2013.2.27)


턱도 없는 보상비로 주민들을 이주 시키려하니 어찌 고향 땅을 가볍게 떠날 수가 있겠는가.
그래서 신촌마을, 오대오천 주민들은 지난 2월에만 해도 시청 청사 앞에서 붉은 머리띠
질끈 매고 농성 중이었다.


 

 

 

번성했던 마을은 그 동안 손길 한번 주지 않은 듯 낡고 헐어
마치 6,70년대 달동네를 보는 듯 하여 민망스럽기가 그지없다.
무거운 마음으로 신촌마을을 나온다.
신촌마을 앞을 지나야 오대오천마을로 갈 수 있다.


오대오천마을...


한 번도 가보지 않았어도 울산사람들은 모르는 사람이 없을 정도로
유명한 마을이 바로 오대오천마을이다.
우리나라에서 모기가 가장 많은 마을로 유명해 졌고,
주민 이주 정책으로 인한 시당국과 주민간의 갈등 문제로
매스컴을 가장 많이 탄 마을로 알려진 마을이다.


그렇다면 왜 마을에 모기가 많아 졌을까?
많아도 보통 많은 것이 아니라 사람이 살 수 없을 정도로 많았다.
(물론 지금은 모기가 거의 사라졌지만...)
대부분 농업에 종사하고 있던 마을 사람들은 너무도 억울했다.
왜, 모기가 들끓어 주민생활마저 위협 받게 됐는지 그 원인을 알았기 때문이다.
모기마을이라는 오명을 뒤집어씌운 주범이 바로 석유화학단지라는 사실 이었다.


오대오천마을의 모기와의 전쟁


오대오천마을의 모기와의 악연은 대략 30여 년 전으로 거슬러 올라간다.
마을 인근에 80년대 초 울산석유화학공단이 조성되고 난 다음부터다.
공단의 수많은 공장들이 배출한 폐수가 마을 앞 하천으로 흘러들었고,
마을 주변에 있던 생태 저습지 8만여 평에도 공단 폐수 등으로 
오염되어 모기가 서식하기에 가장 좋은 환경을 만든 것이다.


주민들은 모기박멸을 위해 온갖 방법을 다 동원했으나 소용없었다.
생태계 먹이사슬을 이용해 유충의 천적인 미꾸라지 수 만 마리를 방류했으나
철새들이 찾아와 미꾸라지를 잡아먹는 바람에 그 마저도 실패하고 말았다.


주민들은 끝도 없는 모기와의 전쟁은 물론, 공단 폐수와 악취에 시달리며
하루하루를 그야말로 지옥 같은 생활을 해야 했다.
군 당국 역시 수년 동안 막대한 예산을 투입하여 모기 박멸과 악취 해결을
도모했으나 근본적인 해결은 보지 못하자 급기야 마을 전체를 다른 곳으로
옮기기로 하고 주민 이주대책을 세우게 된다.


 

                                                   ▲오대오천마을의 저습지대을 흙으로 매립해 버렸다.

 


지금은 모기 서식지였던 저습지대를 아예 흙으로 매립해 버렸다.
그리고 그 자리를 신산업단지 부지로 조성하기로 했다.
모기는 습지대를 매립하여 완전히 박멸(?) 했지만 마을 주민들은
정든 고향 땅을 떠나야 하는 이주민 신세가 되고 말았다.
마을과 인근 모두의 땅이 산업단지 부지로 편입되는 바람에 더 이상
마을에서 살 수 없게 되고 말았다.
모기 박멸의 대가(?)치고는 너무도 가혹한 결과였다.


그래서 모두 떠나고 이제는 마지막으로 십여 가구만이 남아
이주 보상 문제로 당국과 힘겨운 싸움을 벌이고 있는 중이다.


 

 

                                                                         ▲오대오천 마을로 들어가는 길


신촌마을을 지나 자전거 페달을 힘겹게 밟아 오르막길을 넘는다.
길은 겨우 소형차량 한 대 정도 지나 갈 수 있을 정도의 좁은 포장길이다.
그런데 아무리 찾아 봐도 마을은 안 보이고 눈앞에 석유화학단지의
수많은 굴뚝만 시야에 들어올 뿐이다.
마을은 어디 있는 것일까?


이곳저곳 과수원과 논, 밭은 보이는데 집은 듬성듬성 겨우 몇 체가
숲 속에 묻혀 있을 뿐 마을은 보이지 않는다. 인적도 거의 없다.
조금 더 들어가니 나이 많은 아주머니 한 분이 호미를 들고 지나간다.


"아주머니, 여기 오대오천마을이 어디 있어요?"
"어데서 왔능교, 무엇하려 왔능교...."
"아, 네 그냥 마을을 한번 보고 싶어서요."
"애가 바로 오대오천마을 이라요."


아주머니는 잔뜩 경계의 눈빛으로 나를 흘겨본다.
오대오천마을 안에서 오대오천마을을 찾는 꼴이 되고 말았다.
조금 후에 안 사실이지만 마을은 이미 거의 없어지고
불과 대 여섯 체만 남아 있음을 알았다.


 

 

 


사람들은 떠났지만 길가의 예쁜 꽃들은 떠나지 않았다.
접시꽃이 만개하여 그래도 쓸쓸한 옛 마을을 수문장처럼 지키고 있다.

 

 

 


빨간 장미, 해당화도 피어 있고, 노란 달맞이 꽃도 방긋 웃는다.
앙증맞게 예쁜 꽃잔디도 피어 있고, 나팔꽃, 섬초롱도 피어 있다.
산수유와 석류도 빨간 열매를 맺어 고개을 숙이고 있다.
마을 사람들이 떠나고 없는 빈 터에 피어 있는 꽃들을 보니
평화로웠던 옛 마을의 모습이 상상된다.

 


 

그런데 의외로 잘 꾸민 정원이 한 곳이 눈에 띈다.
여러 정원수와 수석들이 화단 가에 놓여 있고 예쁜 꽃들도 피어 있다.
큰 고양이 한 마리가 아기 고양이를 데리고 화단 옆에 앉아
불청객을 경계의 눈초리로 쳐다보고 있다.
사진을 찍으려고 가까이 가니 제 새끼를 데리고 재빨리 다라난다.


그때 등 뒤에서 누군가 다가온다.
돌아보니 할아버지 한 분이 얼굴에 미소를 가득 담고
꽃 사진 찍느냐고 하면서 인사를 한다.

 

 

 

할아버지는 긴 고무장화를 신고 계셨다.
의외로 할아버지는 자기네 정원이라면서 구경하고 가라며 나를 안내한다.
그리고 차도 한 잔 함께 하자며 정원 옆에 딸리 작은 집으로 가서
종이컵에 믹셔커피를 타서 내게 내미신다.


우리는 그 때부터 1시간 여 동안을 서로 이야기를 나눴다.
주로 오대오천마을에 대한 이야기 이였다.
할아버지는 지금 할머니와 함께 이곳에서 농사를 짓고
살고 있는데 이제 떠나려 하니 차마 가지 못하고 이렇게
뭉그적대고 앉아 있다는 것이다.

 

 

 

농사를 지으면서 아름다운 정원을 가꾸는 할아버지....
정원뿐만 아니라 온갖 옛 농기구와 골동품도 수집하고 계셨다.
참으로 할아버지의 감성이 아름답고 맑아 보였다.


"다른 것은 몰라도 이 정원을 두고 어찌 이곳을 떠난단 말이요."


한숨 짖는 할아버지의 눈가에 촉촉한 이슬이 맺힌다.
할아버지의 연세 75세, 존함은 '차용-' 씨다.
이곳을 떠날 때까지 만이라도 가끔 놀러오라고 하면서
전화번호까지 알려 주신다.(011.9554.294-)


이제는 주민도 모기도 사라진 오대오천마을....
이제 머지않아 사라진 마을 대신 또 다른 공장들이 즐비하게
이곳에 들어서 공업도시 울산을 더욱 살찌게 할 것이다.
그러나 우리는 다시는 고향땅으로 돌아오지 못할 것이다.

나도 오늘 오대오천마을을 떠난다.


>미지로